10/09/2009

성격과 인간관계 2


5. 연구의 세 가지 전통들


1) 성격에 대한 임상적 접근
(1) Jean Charcot과 그 제자들: Charcot(1825-1893)은 파리에서 신경클리닉을 운영하면서, 히스테리, 마비, 시각장애, 기절, 기억상실 등의 징후를 가진 환자들에 흥미를 가지고 있었다. 그는 최면술을 이용하여 이러한 환자들을 연구하고, 증후들을 분류하고, 치료하였다.


(2) Sigmund Freud: 프로이트(1856-1939)는 샤코의 제자였다. 그는 심리학 뿐 아니라 우리의 삶과 사회에 영향을 크게 미친 20세기 지성사의 거목이다. 프로이트는 장기간 사람들의 말을 들으며, 그들의 마음 속에 생각나는 모든 것을 말하도록 하였다. 임상적 방법의 연구로서 정신분석은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바램과 공포, 과거의 기억과 이러한 기억이 현재에 미치고 있는 영향, 아동기의 관계에 대한 기억과 어떻게 이러한 기억이 현재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가, 다른 사람과 많은 생각과 사고를 공유하기를 꺼리는 가를 다루었다.


그러나 이론이 등장하면서 근래에 이르기까지 프로이트의 이러한 이론은 과학적 진리라는 차원에서 도전을 받아왔다.


(3) Henry Murray : Murray는 주제통각검사(TAT) Morgan과 함께 개발하여, 심도 깊은 임상적 이해와 자기보고방식만으로는 접근할 수 없는, 체계적인 조사를 통하여 다른 환자와 비교할 수 있는 실험적 방법을 병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4) Carl Rogers & George Kelly : Rogers는 소위 인간 잠재력 운동이라 불리운 운동에 가장 영향을 미친 성격이론가이다. 그는 정신분석의 어두운 무의식적 힘에 의해 추동 된다는 견해와 행동주의의 외부 강화에 단순히 반응한다는 견해를 대신하여 인간은 성장과 자아실현의 존재라는 점을 강조하였다. 그는 민감한 임상가와 엄격한 과학자 모두를 추구하였는데, 우선 임상적 관찰로 시작하여 엄격한 검사가 가능한 구체적 가설을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Kelly는 개인구성의 심리학을 저술하여 45-55년 사이에 성격의 기능에 관한 가장 큰 공헌을 하였다. 그의 견해에 의하면, 사람들은 그들이 구성한 이론으로 현상과 사람들을 바라본다는 것이다. 이런 이유에서 사람들의 문제는 부적응적인 구성을 갖거나, 이론의 적용에서 부적응적인 방법을 사용하였을 때 일어난다고 보고, 임상가들은 이러한 부적응적인 것을 고칠 수 있는 구성을 제시하여야 한다고 보았다.


2) 성격에 대한 상관적 접근
상관적 접근은 개인차와 다양한 성격 특성들간 차이의 관계를 밝힘을 강조한다. 이러한 상관적 접근에서 핵심적인 단어는 개인차, 측정, 통계적 상관이 된다.


(1) Galton경과 그의 동료들: “개인 심리학의 창시자”(Boring, 1950)로서 갈튼경은 진정한 과학적 노력의 특성은 양적 측정이라고 믿었다. 그의 초기 연구는 천재성과 우수성이 가계에서 이어지는가에 대한 의문에 관한 것이었다. 그는 몇 가지의 기준을 이용한 점수화와 성취를 이룬 가족들의 전기를 연구하여, 강한 상관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진행하면서 그는 두 종류의 자료간의 연합에 대한 양적 측정 즉, 상관계수라는 개념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그의 개념은 피어슨의 적률상관계수라고 알려진 통계적 절차에 의해 심화 발전되었다. 영국의 심리학자인 스피어만은 갈튼의 연구에 영향을 받아 요인분석을 개발하여 일반적 지능(g factor)이 있다는 것을 밝혀냈으며, 이러한 요인분석은 성격의 상관적 접근의 기초가 되었다.


(2) Cattell Eysenck: 1940년대 이후 성격의 기본 단위로서 특질이라는 개념이 사용되게 되었다. 특질은 서로 관련이 있는 행동들이라고 볼 수 있다. Cattell Allport의 성격을 기술하는 단어를 사용하여 12개의 기초적인 성격요인을 발견하였으며, 이 후 이러한 기초성격요인은 16개로 확장되었다. 영국의 심리학자인 Eysenck는 비슷한 목적을 가지고 질문지를 이용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는 세 가지의 기본적인 성격 특질차원을 강조하였다: 내향-외향성, neuroticism(안정-불안정), psychoticism(둔감-민감).


(3) 상관접근의 장점과 단점: 임상적 접근과 마찬가지로 상관적 접근에서는 전형적으로 자기보고식 자료라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상관적 접근법을 사용하는 심리학자들은 세부적인 특질들에 객관적인 점수화를 가능케 해주고, 다른 변인들과 특질점수 간의 상관을 통계적 절차를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3) 성격에 대한 실험적 접근
실험적 접근은 인과관계를 밝히기 위해서 변인을 체계적으로 조작한다. 이러한 실험적 접근은 개인차를 강조하는 상관적 접근과 달리 모든 사람들에게 적용이 가능한 심리적 기능의 일반적 법칙을 강조한다.


(1) Wundt, Ebbinghaus, Pavlov: Wundt는 “일반 심리학의 창시자”로써 화학과 생리학을 공부하였다. 그는 심리학을 즉각적인 경험의 과학이라고 정의하였으며, 피험자의 경험 강도와 양에 영향을 미치는 자극(, , 소리)의 변화를 연구하는 것이라고 말하였다. 독일의 에빙하우스는 비슷한 시기에 무의미 철자를 이용하여 실험적 방법으로 망각곡선을 예시하였다.


또한 러시아의 파블로프는 고전적 조건화를 이용하여 실험적 신경증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원형의 자극은 음식을, 타원형의 자극은 쇼크와 조건화시켰다. 그리고 원과 타원의 중간쯤 되는 것을 제시하였을 때, 개는 이것을 변별하지 못하여 정서적 혼란 반응이 발달되었다.


(2) Watson, Hull, Skinner: Watson은 주관적인 내관법에 반대하고 객관적이고 외현적인 행동을 강조하였으며, 심리학은 S-R 결합의 발달을 연구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이러한 Watson의 행동주의는 Hull에게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그는 학습의 S-R 이론을 발전시키고자 노력하였다. 특히 성격심리학에서 현상에 대한 실험적 연구(접근-회피 갈등)뿐 아니라 임상적 이론을 S-R의 관점에서 해석하려고 하였다. 왓슨의 행동주의를 발전시킨 또 하나의 인물은 Skinner이다. 그는 비정상적인 행동을 부적응적 학습의 결과라고 보았으며, 조작적 조건화의 원리를 이용하여 행동을 수정시키는데 적용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3) 인지적 접근들: 1960년대의 인지혁명 이후 성격 심리학자들에게 중요한 많은 문제들(자기, 동기, 무의식적 과정 등)이 실험인지심리학으로부터 차용된 원리와 절차들에 의해 적용되는 연구가 진행되었다. 성격에 대한 인지적 접근을 시도하고자 하였던 심리학자들은 이전에 강조되었던 원리와 절차들에서 급진적으로 변화를 가져왔다. 그들은 내적 과정으로서 목표 등의 개념을 사용하였으며, 질문지와 같은 절충적 연구방법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그들은 실험적 전통내에 있었으며, 성격의 기능에 대한 일반적 원리를 수립하고자 체계적 연구법과 실험심리학을 강조하였다.


(4) 실험적 접근의 장점과 단점: 실험법은 연구자가 세부적인 변인을 조작하여 인과관계를 밝힐 수 있는 대표적인 과학적 연구방법이다. 그러나 제한점은 실험실 환경을 일반적 환경에 일반화시키는데서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한점 중에서 가장 큰 제한점은 개인 성격의 요소들 같의 풍부한 관계성에 대한 연구에 대한 제한이다. 그러므로 실험법을 사용하는 연구자는 어떻게 성격의 요소들이 모여서 전체적으로 기능하는가에 대한 설명을 하지 못하게 된다.


(5) 다양한 전통들의 공통된 목표: Cattell이 상관적 접근을 강력하게 지지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각 접근의 장단점을 알아보겠다. 그는 임상적 접근이 독특한 것과 일반적인 것 사이에 너무 적은 피험자들로 인해서 차별화를 시킬 수 없다고 보았으며, 경쟁가설들 간의 관계와 검증을 할 수 있는 양적 방법이 없다는 점이 약점이라고 보았다. 그는 또한 실험적 방법이 단순한 변인들에 초점을 둠으로써 일상적으로 일어나는 중요한 현상을 접근할 수 없다고 보았다. 그래서 그는 요인분석이 임상적 관찰력과 실험적 방법의 인과관계 설정력 갖지 못하는 내재적 한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요인분석의 아름답고 복잡한 방법은 성격 구조의 기초적 요소와 구조를 설정할 수 있는 충분한 방법”이라고 생각하였다.

1. 1 대안적 연구방법의 장점과 단점의 요약

장 점
단 점
임상적
연구
1. 실험실의 인위성을 피할 수 있음.
2. 사람-환경의 복잡한 관계를 연구.
3. 개인의 심층연구를 가능케 함.
1. 비체계적 관찰
2. 자료의 주관적 해석
3. 변인들간의 관계가 혼란.
상관적
연구
1. 다양한 변인들을 연구.
2. 많은 변인들 간의 상관연구
1. 인과보다는 연합적 관계 설정.
2. 자기보고식의 신뢰도와 타당성 문제
실험적
연구
1. 세부적 변인을 조작.
2. 객관적 자료의 기록.
3. 인과관계의 설정
1. 실험실 내의 연구가 불가능한 현실
     배재.
2. 인공적 상황의 일반화에 제한

4)
절충적 입장
성격 연구는 종종 하나 이상의 접근을 결합시켜 진행된다. Murray TAT와 유사한 그림들을 이용하여 McClelland는 성취동기에 대한 실험적 연구를 진행시켰다. 또한 임상적 관찰에 의한 A 타입 행동패턴과 심장질환과 관계연구가 진행되었다. 이 후 구조화된 면접 측정과 개인차에 대한 질문지 측정을 이용하여 이러한 성격 특성에 대해 보고되게 되었다. 측정에서의 개인차는 실생활 상황과 다른 질문지 뿐 아니라 실험실 수행을 통해 그 상관이 연구되게 되었다. 또 다른 연구방법의 결합은 학습된 무기력에서 일어났다. 최초의 학습된 무기력에 대한 연구는 Seligman에 의해 실험적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가 사람에까지 확장되서 일어날 수 있음이 밝혀졌다. 이러한 노력은 내외 통제 소재에 대한 질문지 측정을 통하여 개인차를 밝히는 연구에까지 이르게 된다.


5) 공유된 과학적 목표
각기 다른 접근들에도 불구하고 성격심리학자들은 어떤 과학적 목표를 공유하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목표는 관찰의 영역을 확장시키고, 변인들의 법칙적 관련을 보이는 이론들을 개발하는 것이다. 여기서는 성격의 과학적 연구에 기초가 되는 신뢰도와 타당도라는 개념에 중점을 두기로한다. 신뢰도는 관찰이 어느 정도 안정되고 독립적이며 반복될 수 있는가의 정도라고 말할 수 있다. 타당도는 어느 정도 우리의 관찰이 과학적 개념과 법칙에의해 반영될 수 있는가의 정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