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4/2011

야다(알다) - 하나님을 아는 것은 하나님을 경험한 것

구약성경이 쓰여진 히브리어에서 "알다"라는 뜻의 단어를 "yadah"라고 한다. 그런데 yadah라는 단어에는 "알다"라는 뜻 외에도 "경험하다" "성관계를 하다"라는 뜻이 담겨있다.

안다는 것이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 히브리인들이 어떻게 생각했는지를 "알다"라는 뜻의 단어를 통해서 발견할 수 있다. 히브리인들에게 "안다"는 것은 "경험한 것"이었다. 돌려말하자면 경험하지 않은 것은 아는 것이 아니다. 그래서 그들에게는 인식론적으로, 머리로, 지성으로 하나님을 아는 것이 아니라 우리들의 조상 아브라함의 하나님, 이삭의 하나님, 야곱의 하나님, 자신의 조상들이 직접 만났던 하나님이 중요했고, 홍해를 건너게 하신 하나님, 요단강을 건너게 하신 하나님, 이스라엘 민족이 직접 경험한 하나님이 중요했다. 이스라엘 민족에게 "역사"란 하나님과의 만남, 하나님을 경험하는 사건의 연속이었다.

더 나아가 히브리인들에게 안다는 것은 남자와 여자가 결혼을 하고 성관계를 같이하는 정도로 서로를 알 때와 같이 속속들이 아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성경에서 우리는 동침하지 않았다는 의미로 "누가 누가를 알지 못하였고"라는 표현을 접하게 되는 것이다. 부부가 동침하는 정도로 속속들이 아는 것 그것이 유대인들에게는 "안다"는 것의 의미였다.

사실 인식론적으로, 이성적으로 안다는 것은 히브리적 개념이 아니라 헬라적 개념이다. 히브리인들은 사람이 육체, 가슴(마음), 영혼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생각했다. 헬라인들은 이 중 마음(가슴)을 마음(heart)과 생각(mind) 두개로 나누어 생각했다. 오늘날까지도 대부분의 동양인들은 마음과 생각을 하나로 여기는 성향이 강하지만 서양인들은 감정, 느낌을 의미하는 마음(heart)과 머리의 지시적, 인지적 행동인 생각을 의미하는 생각(mind)로 명확히 구분하는 경향을 보인다. heart와 mind를 번역할 때 한국인들은 별 차이를 느끼지 않을지 모르나 서양인들의 구분은 명확하다.

로마가 지배할 당시, 헬라적 사고와 세계관이 세계를 지배할 때 박해를 받던 그리스도인들은 그들과 소통하기 위하여 헬라적 개념을 동원 하나님을 설명했다. 지성, 이성, 인식론, 즉 mind를 이용한 그들의 하나님에 대한 설명은 중세시대를 거쳐 "신학"으로 발전하였고 오늘날까지도 신학은 하나님을 알기 위하여 배우는 학문이 되었다.

나 자신이 신학을 시작하면서 "진정 하나님을 안다는 것은 무엇인가?"를 고민하게 된다. 인식론적으로, 지적으로 혹은 하나님에 대한 수많은 신학자들의 견해와 이론을 안다는 것이 하나님을 진정으로 아는 것일까? 이론으로 아는 하나님은 하나님이나 우리의 믿음을 공격하는 자들에게 논리적으로 반박할 수 있는 도구는 될 수 있을지언정 지금까지의 삶을 경험을 통해 볼 때 "내가 아는 하나님"은 되지 못했다.

내가 아는 하나님은 오직 내가 경험한 하나님 뿐이었다. 내가 고통 중에 부르짖을 때 나에게 위로해주셨던 하나님, 내가 주를 떠나고자 했을 때 나를 경책하셨던 하나님, 내가 누군가를 용서하지 못했을 때 용서가 무엇인지 가르쳐주셨던 하나님, 나의 하나님은 내가 경험한 하나님이었고, 하나님께서 주신 말씀은 그러한 순간마다 책에 씌여있는 활자로부터 내 영혼과 삶에 역사하는 살아있는 말씀으로 변모되었다.

우리 시대에 수많은 교회에서 수많은 성경공부가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내가 참석해 본 성경공부 중 살아있는 하나님의 말씀을 나누는 모임은 찾아보기 힘들었다. 이성과 지식으로 하나님을 추구하나 삶 가운데 경험한 하나님을 그러한 성경공부에서 발견하기 어려웠다. 사람은 가슴이 움직이면 몸도 움직인다. 때로 머리가 움직여서 움직일 때도 있으나 가슴이 타오르면 사람은 행동하게 되어있다.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 기독교가 비판받는 이유는 우리의 성경공부가 가슴은 만지지 못하고 머리만 만지기 때문은 아닐까? 우리가 아는 하나님이 경험한 하나님은 없고, 머리로 생각하여 알게 된 하나님만 있기 때문은 아닐까?


이성적으로 하나님을 아는 것을 설명한다고 하여 불신자들이 예수를 믿게 되는 것을 본 적이 없다. 하나님과 믿음에 대한 이성적 비판은 언제나 비판을 위한 도구였지 진정 그 비판의 핵심이 되는 문제가 이성적으로 해소되었다고 해서 예수를 믿게 되는 경우는 진정 "진리"가 무엇인지를 추구하는 극소수의 사람들을 빼고는 별로 없는 것 같다. 사람들에게 어필할 수 있는 언어로 말하고자 우리는 이성적, 논리적으로 하나님을 설명하지만 모든 사람들이 납득하거나 동의할 수 있는 하나님에 대한 인식론적, 이성적, 논리적 설명은 앞으로도 없을 것이다.

그렇다면 이 시대 우리의 하나님에 대한 증거는 어떠해야 할까? 살아계신 하나님에 대한 증거는 내가 경험한 하나님이어야 하지 않을까? 누구에게나 보편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이론화된 하나님이 아니라 나에게 역사하신 하나님이면 충분하지 않을까? 내가 그분을 이렇게 만나고 이렇게 그분과 동행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나의 말 더 나아가 그런 삶이면 충분하지 않을까?

다시 한 번 하나님을 안다는 것이 무엇인지 되새겨 본다. 하나님을 아는 것은 하나님을 경험함이다. 하나님을 경험하지 않은 자여! 하나님을 안다 말하지 말라. 하나님을 경험했는지 아닌지는 시험과 환란을 통해 흔들어보면 드러나기 마련이다. 하나님을 경험한 자는 시험이 닥쳐올 때 흔들리지 않을 수 있다.

하나님을 경험한 자는 홍해를 건너게 하신 하나님께서 눈앞의 요단강도, 여리고성도 건너게 하실 줄 믿을 수 있다. 그러나 머리로만 하나님을 안다고 생각했던 자들은 시험이 오면 넘어진다. 이성으로 이해한 하나님은 이성적으로 납득할 수 없는 상황에서는 신뢰할 수 없는 분이 된다.

우리 모두 하나님을 경험하자! 골방으로 나아가 무릎으로 하나님의 얼굴을 구하자! 생각으로 하나님을 구하고, 머리로 하나님을 구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가슴과 영혼으로 하나님의 얼굴을 구하자! 하나님께서 우리를 만나주시지 않겠는가!

댓글 없음:

댓글 쓰기